작성일 : 15-02-09 01:08
CRPS 추가상병 불승인되었는데, 산재 승인기준이 달라졌다는데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글쓴이 : lawpeace
조회 : 2,937  
1.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산재인정 기준의 확대

 

    근로복지공단이 산재요양상병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과 평가방법을 개선하여 2014. 9. 1.부터 적용하기로 하였는데,

    그 변경내용은, 기존에는 AMA(미국의사협회) 제5판 기준에 따라 엄격한 기준(11가지 증상 중 8가지 이상이 맞는 경우)을 적용하여 요양불승인 처분이 많았는데, 진단기준을 IASP(세계통증학회)에 의한 기준 즉, 4개의 범주 중 3개의 범주에서 1개 이상의 증상(환자가 자각하여 느끼는 주관적 상태)과 2개 범주에서 1개 이상의 징후(환자 또는 의학전문가가 객관적으로 보거나 진찰하였을 때 보이는 상태)가 있는 경우 인정하는 것으로 개선한 것입니다.

 

이러한 진단기준의 변경으로 인해 기존의 진단기준에 따라 불승인된 산재근로자가 재신청을 하면 개선된 진단기준으로 재판정을 한다는 것이므로 치료병원에서 CRPS 진단을 받았던 피재자 중 공단에서 불승인한 경우 재심사를 통해 승인된 확률이 높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2. 구체적인 기준

 

  객관적인 감별진단을 위해 범주별 필수 검사항목으로 지정된 4가지 범주는,

 

  가. 감각이상 : 징후(자발통, 통각과민, 이질통-기계적, 열성, 심부체성) --> 필수검사항목은 NRS, CRPS type II는 EMG/NCS

  나. 혈관운동이상 : 징후(혈관확장 또는 수축, 피부온도의 비대칭, 피부색의 변화 --> 필수검사항목은 삼상골스캔, 사진촬영(포토)

  다. 발한이상/부종 : 징후(부종, 다한증 또는 저한증) --> 필수검사항목은 사진촬영(포토), 의무기록지, 단순방사선, 초음파,

                              MRI 3개 중 1개항목(판독지에 부종여부 명시)

 라. 운동이상/이영양성 변화 : 징후(운동부전, 운동가동역 감소, 모발 또는 손발톱변화, 피부위축) --> 필수검사항목 골밀도 검사

                                          (BMD), CT 촬영, 사진촬영(포토)

  * 사진촬영은 의료인이 촬영 필수.

 

 임상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 유발되는 이벤트와 부합하지 않는 지속적인 통증이 있어야 하며,

 - 위 진단기준 중  4개의 카테고리 중 3개에서 최소한 1개 이상의 증상이 있어야 하고,

 - 평가 당시에 아래 카테고리 중 최소한 2개 이상의 카테고리에서 최소한 1개 이상의 징후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가. 감각이상 : 바늘로 자극하는 등의 자극에 대해 통각과민, 가벼운 접촉 자극, 냉온 자극, 심부체성 압박, 관절 운동 등에 의한

                    이질통의 증거가 있어야 함.

 나. 혈관운동이상 : 양측 체온의 1도 이상의 불균형, 피부색깔의 변화와 불균형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함.

 다. 발한이상/부종 : 부종, 발한의 변화와 불균형의 증거가 있어야 함.

 라. 운동기능 이상/이영양성 변화 : 운동가동역 감소, 운동부전, 모발, 손발톱, 피부에 있어서의 이영양성 변화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함.

 

 

3. 기 타

 

  위 진단기준을 근거로 최대한 자료를 정리해 제출하시고, 저희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lawpeace 15-02-09 01:09
 
근로복지공단의 변경된 CRPS 진단기준에 대해서는 본 로피스 홈페이지 의료정보-CRPS 항목에서 다운받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